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하면 KAIST '휴보(HUBO) 랩'의 연구진이 설립한 회사로, 이족보행 로봇(휴머노이드) 분야의 원천 기술을 가진 것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단순히 연구용 로봇에 머무르지 않고, 상상 이상의 'AI 기반 로봇 플랫폼' 리더로 대변신을 꿈꾸며 엄청난 로드맵을 그리고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기술과 로봇으로 삶을 이롭게 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의 융합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러한 변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아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 시장 리더십 강화, 모바일/휴머노이드로의 사업 확장, 그리고 AI 로봇 솔루션 플랫폼 구축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미래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려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핵심 미래 전략과 혁신 기술, 그리고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까지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레인보우 로보틱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rainbow-robotics.com/?_l=ko
레인보우로보틱스 -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Rainbow Robotics
www.rainbow-robotics.com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비전과 로드맵: 협동, 휴머노이드, AI 플랫폼
협동로봇(Cobot) 시장의 리더십 강화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
협동로봇 시장의 리더십 강화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입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출시하며 제조업, F&B(식음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 협동로봇 중 유일하게 IP66 등급의 방진/방수 기능을 갖춘 제품을 선보이며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고하중을 처리하는 모델, 교육용 소형 모델 등을 추가하며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휴머노이드'로의 사업 확장
'모바일'과 '휴머노이드'로의 사업 확장입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팔에서 이동형 로봇(모바일), 궁극적으로는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확장하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바퀴 기반의 이동형 양팔로봇(RB-Y1)을 출시하여 글로벌 연구기관에 플랫폼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사족보행 로봇(RBQ 시리즈)도 개발했습니다. 최종 목표인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업화를 위한 선행 연구에 집중하며 미래 로봇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AI 로봇 솔루션' 기반의 플랫폼 구축
'AI 로봇 솔루션' 기반의 플랫폼 구축입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로봇의 학습과 제어를 융합한 Physical AI 소프트웨어(AiSA)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AI를 통해 로봇이 스스로 오차를 보정하고, 복잡한 작업을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AI 기반 자율 로봇 솔루션'을 통해 제조 현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려 합니다.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건 쉽지 않지만, 성공만 한다면 그 증폭되는 이점은 엄청 클 것입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 및 R&D 소개: '휴보' DNA가 만든 로봇 핵심 기술 내재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 및 R&D 핵심은 바로 '로봇의 A부터 Z까지' 모든 핵심 부품과 기술의 높은 내재화율에 있습니다. 이는 로봇 기술을 유연하게 결합하고, 다양한 형태의 로봇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경쟁 우위가 됩니다.
'휴머노이드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기술'의 원천 보유
KAIST 휴보 랩 연구진이 설립한 회사답게,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족보행 로봇(휴보)의 설계, 구동, 제어 기술 등 로봇의 가장 어려운 기술인 인간형 로봇의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협동로봇, 사족보행 로봇 등 다른 로봇 개발의 기반이 됩니다. 'DRC-HUBO'로 세계 최고의 재난 구조 로봇 타이틀을 거머쥔 기술력이 바로 이 핵심입니다.
'초정밀 로봇 제어 및 부품 내재화 기술'
로봇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모터, 감속기, 제어기 등 핵심 부품은 로봇의 성능을 결정짓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러한 핵심 부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생산하여 높은 내재화율을 자랑합니다. 특히, 1초각(3,600분의 1도) 수준의 정밀도를 갖춘 천문 마운트 정밀 로봇 제어 기술 등 고도의 정밀 제어 기술은 글로벌 탑티어 로봇 기업들과 경쟁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AI 기반의 자율 로봇 소프트웨어 기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단순한 하드웨어 제조사를 넘어, 강화학습을 자체 개발하고 Physical AI 소프트웨어(AiSA)를 통해 로봇의 자율성과 적응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로봇이 외부 환경 변화나 미세한 오차를 스스로 보정하며 고난도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업 및 파트너십: '삼성전자'와 'AI 휴머노이드'를 함께 만들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오픈 이노베이션'이라는 정신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미래 로봇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가장 대표적인 협업 사례는 단연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입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되면서 미래 로봇 사업에 대한 강력한 투자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안정적인 자금 지원과 삼성전자의 대규모 제조 공정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음을 의미합니다. 삼성전자의 로봇 사업 로드맵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원천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류 자동화 시장 선점을 위한 CJ대한통운과의 MOU 체결'
레인보우로보틱스는 CJ대한통운과 'AI 휴머노이드 물류 로봇' 공동 개발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물류 자동화 현장에 적용하여 물류 로봇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전략입니다. 이 협업은 로봇 기술의 실증(Test Bed)과 상업화를 가속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AI 기반 솔루션 기업과의 공동 개발 파트너십'
레인보우로보틱스는 AI 기반 자율 로봇 소프트웨어 기업인 플라잎(PLAiF) 등과 협력하여 고정밀 Physical AI가 결합된 양팔로봇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로봇 하드웨어 강점 위에 첨단 AI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로봇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융합형 파트너십'의 성공 사례입니다.
기타 협력 및 글로벌 확장
이 외에도 조선업 특화 로봇 개발을 위한 삼성중공업과의 MOU, 글로벌 연구기관(MIT, UC버클리 등)에 연구용 로봇 플랫폼을 공급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협업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AI와 하드웨어 기술을 통합하여 미래 휴머노이드 시대를 여는 글로벌 솔루션 리더'가 되려고 합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담대한 도전과 혁신이 앞으로 우리 삶과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정말 기대됩니다.